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바
- 티스토리챌린지
- java
- MongoDB
- DBMS
- 오블완
- Python
- spring
- MariaDB
- network
- Linux
- git
- IntelliJ
- 명령어
- oracle
- SQL
- Javascript
- top
- JPA
- mysql
- analytics4
- 리눅스
- mssql
- rsync
- PostgreSQL
- docker
- 트랜잭션
- 차이점
- group by
- API
- Today
- Total
목록SERVER (48)
hanker
rm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삭제할 때 사용된다.기본적인 사용법과 자주 사용하는 옵션을 알아보자 기본 사용법 : rm [option] file명 # 단일 파일 삭제rm hanker.txt# 다수 파일 삭제rm hanker1.txt hanker2.txt# 디렉터리 삭제 (-r 옵션) 디렉터리와 그 안의 모든 파일 삭제rm -r hankerDir# 강제 삭제 (-f 옵션) 삭제 전 확인을 묻지 않고 삭제할 때 사용rm -f hanker.txt# 디렉터리 내 모든 파일 강제 삭제(-rf 옵션)rm -rf hankerDir# 파일 삭제 전 확인rm -i hanker.txt# 특정 확장자 및 특정 비슷한 파일명 삭제rm *.txtrm han* rm hanker3.txt rm hanker2...
이번글에서는 Docker를 이용해서 Jenkins 서버를 구축해보자 https://www.jenkins.io/ JenkinsJenkins –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 test, and deploy their softwarewww.jenkins.io 1. Docker Jenkins 이미지 다운로드docker pull jenkins/jenkins:lts- Docker에서 Jenkins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lts Jenkins의 장기 지원(LTS) 버전을 다운로드) 2. Jenkins 컨테이너 실행- Jenkins 컨테이너 실행 명령어를 알아보자.# Je..
이번글에서는 Docker를 이용해서 Tomcat 서버를 구축해보자 1. Docker Tomcat 이미지 다운로드 docker pull tomcat:9.0- Docker에서 Tocmat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9버전을 다운로드 했는데, 필요한 버전을 입력해서 다른버전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2. Tomcat 컨테이너 실행- Tomcat 컨테이너 실행 명령어에 container를 편하게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들을 추가해보자docker run -d \ --name tomcat9 \ -p 18080:8080 \ -v /home/docker/tomcat9/webapps:/usr/local/tomcat/webapps \ -v /home/docker/tomcat9/logs:/usr/local/tomca..
Docker를 이용해서 MariaDB 서버를 구축해보자 1. MariaDB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 docker pull mariadb- MariaDB를 다운로드 받는다. 2. MariaDB 컨테이너 실행 데이터 영속성 설정 (옵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MariaDB 컨테이너를 실행해야 하는데, MariaDB 컨테이너가 종료되거나 재시작해도 데이터가 유지되도록, 호스트 시스템에 볼륨을 마운트하여 데이터 영속성을 보장시키게 실행해보자 docker run -d \ --name mariadb-server \ -e MARIADB_ROOT_PASSWORD=hanker \ -v /home/hanker/mariadb-server:/var/lib/mysql \ -p 33306:3306 \ mariadb # doc..
서버 설치하고 IP확인 해보려고하면 command not found, 에디터 확인해보려고 하면 command not found 지긋지긋한 command not found Linux 서버 초기 설정 시 설치하면 유용한 기본 명령어와 관련 패키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기본 시스템 유틸리티 패키지 net-tools: 네트워크 상태 확인 명령어인 ifconfig, netstat 등이 포함sudo apt install net-tools # Debian/Ubuntu sudo yum install net-tools # CentOS/RHEL vim / nano: 파일 편집기. vim과 nano는 많이 사용되는 편집기로, 초기 설정 시 파일 편집에 유용sudo apt install vim nano #Debian/Ubunt..
https://hanke-r.tistory.com/entry/docker-%EA%B0%80%EC%83%81%ED%99%94-%EC%84%9C%EB%B2%84-%EC%83%9D%EC%84%B1-%EB%B0%8F-%EC%A0%91%EC%86%8Dcentos docker - 가상화 서버 생성 및 접속(centos)centos7 환경에서 docker 가상화 서버 생성 및 접속(centos) docker 설치 후 진행 현재 실행중인 container 확인 - docker ps centos container 다운로드 - docker pull centos:lastest 설치 확인 - docker images container 실행 (백hanke-r.tistory.com 예전에 작성했던 Docker 관련글에 이어 이번..
서버 내에 무언가 설치를 했는데 대체 이 파일이 어디있는건지, 환경 설정해주는 파일은 어디로 갔는지.. File/Directory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find 명령어 find 명령어 역할 fin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 및 디렉터리를 검색하는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다양한 옵션과 함께 사용하여 파일의 이름, 타입, 생성 날짜, 소유자, 크기 등을 기준으로 파일을 찾을 때 사용한다. 사용방법find [경로] [조건]- 경로: 검색할 디렉터리의 경로를 지정 (생략가능 : 생략하면 현재 디렉터리에서 검색)- 조건: 파일 이름, 유형, 크기, 소유자 등의 검색 조건을 지정 1. 파일 이름으로 검색- 파일 이름을 기준으로 검색할 때는 -name 또는 -iname 옵션을 사용 (iname은 대소문자를..
리눅스/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변경할 때 사용되는 chown 명령어 change owner단어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명령어 해당 명령어는 파일의 소유자(owner) 또는 그룹(group)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이유는 시스템 관리자가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며, 권한 설정을 통해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게 적절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사용 이유소유자 변경: 파일의 소유자가 다른 사용자로 변경되어야 할 때그룹 변경: 파일에 대한 그룹 소유권을 변경해야 할 때접근 권한 관리: 특정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사용자 또는 그룹별로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 방법chown --help 명령어를 치게되면 사용 방법, 옵션정보에 대해서 나온다..
Linux 서버에서 로그 확인하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지만, command 로그가 남는곳 ~/.bash_history 에 쌓이게 되는데,해당 로그 확인 명령어는 vi ~/.bash_history 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누가 사용했고, 언제 사용했는지는 나오지 않는다. 좀 자세하게 로그를 찍어보려고 한다. vi /etc/profile명령어를 입력해서 수정해보자.profile 파일은 로그인하는 개별 사용자들에게 시스템의 기본적인 사용환경설정을 제공하기 위한 용도이다. export PROMPT_COMMAND='history -a; echo "$(date "+%Y-%m-%d %H:%M:%S") | User: $USER | IP: ${SSH_CLIENT%% *} | Command: $(history 1)" >> /v..
https://hanke-r.tistory.com/114 Window - 사용중인 포트 확인하고 중지1. 8080 포트를 사용중인 프로세스를 중지하기 위해 netstat -ano 명령어 실행 명령어 실행 후 PID값을 확인할 수 있다. 2. taskkill /f /pid 18640 명령어 실행 3. 확인 깔끔하게 중지됐다.hanke-r.tistory.com 이전에 window에서 열려있는 포트 확인 후 정지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적었었는데,이번 글에서는 linux에서 확인하는 명령어를 적어보려 한다. linux에서 netstat( network statistics )이라는 명령어를 치면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를 보여준다.전체 시스템 네트워크 전체가 나오기 때문에 특정 네트워크 정보를 찾기엔 부적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