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git
- oracle
- DBMS
- MariaDB
- 오블완
- pem
- mysql
- IntelliJ
- 티스토리챌린지
- springboot
- 호이스팅
- SQL
- Linux
- Python
- 자바
- 명령어
- github
- java
- Kibana
- Javascript
- iBatis
- pandas
- analytics4
- PostgreSQL
- 404error
- mssql
- isNotEmpty
- 리눅스
- spring
- docker
- Today
- Total
목록SERVER/Linux (35)
hanker

리눅스에서 useradd / usermod / userdel 명령어는 새 사용자 계정을 생성 / 수정 /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etc/passwd, /etc/shadow, /home/, /etc/group 등에 사용자 정보가 등록된다. 1. useradd 명령어 1-1. 기본 문법useradd [옵션] 사용자이름 1-2. 옵션 옵션 설명 -m홈 디렉토리 생성-d홈 디렉토리 경로 지정-s로그인 쉘 지정-g기본 그룹 지정-G추가 그룹 지정-uUID 지정-e계정 만료일 지정 (YYYY-MM-DD)-f비밀번호 만료 후 비활성까지 유예 일수-r시스템 계정 생성 (로그인 불가) 1-3. 사용자 생성 (기본적인 생성 방법)useradd hanker- /home/hanker 디렉터리는 생성되지 않음..

리눅스의 diff 명령어는 두 파일의 차이점 (Difference)을 비교할 때 사용한다. 보통 소스 코드, 설정 파일 변경 확인, 버전 비교 등에 많이 사용된다. 1. 기본 문법 diff [옵션] 파일1 파일2 2. 비교 diff test.txt test2.txt파일 간의 변경된 줄을 보여준다. 2-1. 컬러로 보기 좋게 출력 (devian 계열에서 사용 가능)diff --color=auto test.txt test2.txt줄 추가(+)와 삭제(-)가 컬러로 구분되어 보기 쉬움 2-2. 전체 변경 요약 보기 (-q)diff -q test.txt test2.txt다르면 다르다고 출력되고, 같으면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음. 2-3. 줄 번호를 포함한 변경 내용보기 (-c / -u)diff -u t..

rmdir는 비어 있는 디렉토리만 삭제하는 명령어이다.즉, 해당 디렉토리에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가 있으면 삭제되지 않는다. 1. rmdir 명령어 사용법$ rmdir testDir - testDir 디렉토리가 비어 있다면 삭제된다.- 폴더 안에 파일이 있으면 삭제 실패 2. 디렉토리 안에 파일이 있을 경우 $ mkdir testDir && touch ./testDir/tmp.txt$ rmdir testDir rmdir: failed to remove `testDir': 디렉터리가 비어있지 않음 (실패) 3. 하위 디렉토리 순차적으로 삭제 (--parents 옵션) $ rmdir --parents testDir/a/b* -parents OR -p 옵션을 사용하면 됌 rmdir vs rm -r 차이항목..

touch 명령어는 파일 생성 및 수정 시간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주로 빈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변경할 때 사용된다. 1. touch 명령어 사용법 $ touch test.txt- test.txt라는 파일을 생- 파일이 이미 존재하면 파일의 수정 시간을 변경-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빈 파일을 생성 2. touch 옵션 정리옵션설명-c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 만들지 않고 아무 작업도 하지 않음-m최종 수정 시간만 변경 (생성 시간은 변경하지 않음)-a마지막 접근 시간만 변경-t [YYYYMMDDhhmm]지정한 날짜와 시간으로 타임스탬프 변경-r [기준파일]기준 파일의 타임스탬프를 복사 2-1.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파일 생성$ touch test2.txt- tes..

pwd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경로)를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1. 사용방법 $ pwd- 현재 터미널에서 작업 중인 디렉토리(현재 위치한 경로)를 출력한다.- pwd를 실행하면 절대경로를 반환한다. 2. pwd 옵션 옵션설명-L(default) 심볼릭 링크 경로를 그대로 출력-P실제 물리적 경로(심볼릭 링크 해제된 절대 경로)를 출력 2-1. -L 옵션 (Logical Path)해당 옵션은 default 로 실행된다. 2-2. -P 옵션 (Physical Path)심볼릭 링크를 해제하고 원래 실제 디렉토리를 출력한다.
리눅스에서 명령어 실행 결과를 출력하거나, 특정 문자열을 화면에 표시하고 싶을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가 바로 echo 명령어이다. 이번 글에서는 echo 명령어의 기본 개념, 사용법, 주요 옵션, 그리고 실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echo 명령어 echo명령어는 터미널에 텍스트 또는 변수 값을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주로 스크립트에서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파일에 내용을 기록할 때 사용된다. 2. echo 명령어 사용법 echo [옵션] [출력할 문자열]# 옵션 생략 가능- 출력할 문자열에서 따옴표를 사용하면 공백이 포함된 문자열 출력이 가능하다. 3. 주요 옵션옵션설명예제(없음)기본 문자열 출력echo Hello, Linux!-n줄 바꿈 없이 출력echo -n "Hello, ..
리눅스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요 Tool이 패키지 관리자이다.대표적으로 Debian 계열에서는 apt-get, Red Hat 계열에서는 yum을 사용한다. 이번 글에서는 apt-get 과 yum 명령어의 기본 사용법 및 기능,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1. apt-get 명령어 apt-get은 Debian, Ubuntu 계열 배포판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 도구이다.APT(Advanced Package Tool)의 일부로, 패키지를 설치, 제거, 업데이트할 때 사용된다. 주요 기능- 패키지 설치, 업데이트, 제거- 의존성 자동 해결- 최신 소프트웨어 저장소에서 패키지 다운로드 사용법 apt-get [명령어] [패키지 이름] 주요 명령어명령어설명예제update패키..
리눅스에서 파일을 편집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텍스트 에디터는 vi, vim, nano이다.각각의 에디터는 고유한 특징과 사용 방법이 있고, 목적에 맞게 선택하면 작업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텍스트 에디터의 기본 개념, 특징과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vi 에디터 vi는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에서 가장 기본적인 텍스트 에디터이다.설치 없이 기본적으로 제공되며, 가벼우면서도 많은 기능을 제공한다. 특징- 기본 제공되는 에디터로 모든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가능- 커맨드 모드와 입력 모드를 구분하여 작동- 초보자에게는 사용법이 어려움 사용법1-1. 파일 열기# vi 파일명vi test.txt 1-2. 모드- 커맨드 모드 : 명령을 입력하는 기본 모드- 입력 모드 : 텍스트를 편집..

리눅스 프로그램에서 새로운 명령어를 접했을 때, 해당 명령어를 어떻게 잘 사용해야 하는지 막막할 때가 있다.이때 해당 명령어를 어떻게 쓰면 되는지, 옵션은 뭐가 있는지, 예제에 대해서 알려주는 man 명령어(manual 약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1. man 명령어 사용법 man [명령어 또는 키워드]명령어 또는 키워드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명령어나 키워드에 대한 매뉴얼 페이지가 나타난다. 2. 매뉴얼 내 검색 매뉴얼 페이지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려면 /키워드를 입력한 후 엔터를 누른다. 3. 다른 섹션 검색 매뉴얼은 여러 섹션으로 나뉘어 있으며, 특정 섹션에서 검색할 수 있다.섹션 번호설명1일반 사용자 명령어2시스템 호출 (커널 함수)3라이브러리 호출 (C 라이브러리 등)4디바이스 파일 및 특수 파..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거나 관리하다 보면 파일의 마지막 부분을 확인해야 할 때가 많다.대표적으로 로그 파일을 확인하거나, 실시간으로 로그 변화를 모니터링해야 할 때가 있는데, 이럴 때 유용한 명령어가 바로 tail 명령어이다.이번 글에서 tail 명령어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아보자! 1. tail 명령어란? tail 명령어는 파일의 끝부분을 출력하는 유틸리티이다.기본적으로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출력하며, 옵션을 통해 출력할 줄 수를 변경하거나 실시간 로그 모니터링도 가능하다.로그 파일을 모니터링하거나 데이터 파일의 최근 내용을 확인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2. 기본사용법tail [옵션] [파일명]- 옵션: 출력할 줄 수, 바이트 수, 실시간 모니터링 등 설정 가능- 파일명: 읽고자 하는 파일의 경로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