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ker

Linux - 쉘 스크립트 기본 구조 및 생성, 실행 본문

SERVER/Linux

Linux - 쉘 스크립트 기본 구조 및 생성, 실행

hanker 2025. 4. 14. 02:22
반응형

쉘스크립트는 쉘(shell)이라는 커맨드 인터프리터를 이용하여 여러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도록 작성된 텍스트 파일이다.

주로 리눅스,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시스템 관리, 자동화 작업, 배포 스크립트, 백업 등 다양한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1. 기본 문법 및 구조

 

쉘스크립트는 기본적으로 텍스트 파일로 작성되며, 각 줄마다 하나의 명령어가 위치한다.

아래 코드를 보면서 이해해보자

#!/bin/bash
name="hanker"
echo "Hello, $name"

 

1번째 라인을 보면 #!/bin/bash 라고 작성되어 있는데, 이를 셔뱅(shebang)이라고 한다.

쉘 스크립트 파일의 맨 첫 줄에 위치하는 특수한 주석 형태로,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할 인터프리터(해석기)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셔뱅은 #! 문자로 시작하며 쉘 스크립트 내에서 주석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운영체제에게 스크립트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를 알려주는 명령어이다.

 

2번째 라인은 변수를 선언한 라인이고, 따로 타입을 지정할 필요가 없다.

주의할 점은 name = "hanker" 처럼 equals(=) 기호 양 옆에 띄어쓰기가 되면 안된다.

 

3번째 라인은 변수의 값을 출력하는 대표적인 명령어 echo를 사용해서 출력시킨다.

변수 뒤에 텍스트가 온다면 {}로 묶어서 사용하면 된다. echo "Hello, ${name}님"

 

 

 


2. 출력 예 

 

2-1. vi hanker.sh (쉘 스크립트 생성)

vi 에디터를 통해 쉘스크립트 생성

 

 

2-2. 실행 권한 부여 (chmod +x ./hanker.sh)

실행 권한 부여

 

2-3. 실행 (./hanker.sh)

실행 결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