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ostgreSQL
- IntelliJ
- analytics4
- SQL
- 오블완
- java
- MongoDB
- Javascript
- 트랜잭션
- github
- Linux
- 차이점
- JPA
- git
- 명령어
- mysql
- 추상클래스
- MariaDB
- group by
- rsync
- DBMS
- 리눅스
- 호이스팅
- Python
- oracle
- 자바
- docker
- mssql
- 티스토리챌린지
- spring
- Today
- Total
목록github (3)
hanker
다른 브랜치에서 소스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현재 브랜치 소스를 유지하면서 가져오기 다른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현재 브랜치로 병합하기git merge [브랜치명]# git merge main명령어를 실행하면 main 브랜치의 변경 사항이 현재 브랜치에 병합된다. * 브랜치 충돌이 발생할 수 있음.병합 중 충돌이 발생하면 직접 수정한 후 커밋해야 한다.git add .git commit -m "Merge develop branch" 2. 다른 브랜치 소스 덮어쓰기 (현재 브랜치 변경됨) 만약 현재 브랜치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다른 브랜치의 내용을 그대로 가져오고 싶을 때에는 reset --hard을 사용한다.git fetch origingit reset --hard origin/다른_..

Git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인 Fork는 원본 저장소(repository)를 복제하여 내 계정 아래에서 독립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이번 글에서는 Fork의 개념과 용도를 쉽게 알아보자! 1. Fork란? Fork는 원본 저장소의 복사본을 내 계정으로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이 복사본은 원본 저장소와 별개로 존재하기 때문에, 마음껏 수정하고 삭제해도 상관없다. - 독립성 : 내 계정에 생성된 포크는 원본과 연결되어 있지만, 내가 수정한 내용은 원본에 바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협업 :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고 싶을 때, 먼저 프로젝트를 포크한 후 수정 작업을 진행하고, 나중에 원본 저장소에 변경 사항을 반영해달라고 요청(Pull Request)을 보낸다. 2. Fork 사용 방법 및 ..

VSCode 에서 Github repository를 받아보자. VSCode → Github 연결 제일 처음으로 VSCode 창에서 F1 키를 눌러서 Git clone을 검색하여 찾는다. 해당 항목을 클릭하면 Github이랑 연동하라는 팝업창이 나오는데, Allow 버튼 클릭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로그인 되어있는 계정이나, 아니면 다른 계정을 추가해서 연결할 수 있다. Continue 버튼을 눌러서 진행했고, 다시 VSCode로 돌아오면 Github에 있는 Repository들이 보이는데 불러올 Repository를 선택하면 해당 프로젝트를 불러올 수 있다.이렇게 불러와서 실행도 가능하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