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오블완
- Javascript
- SQL
- docker
- Python
- cursorai
- Kibana
- java
- zset
- mssql
- 명령어
- codeium
- github
- PostgreSQL
- iBatis
- analytics4
- 자바
- Linux
- DBMS
- MariaDB
- spring
- 쉘스크립트
- pandas
- mysql
- IntelliJ
- 리눅스
- 티스토리챌린지
- oracle
- error
- git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2025/04/12 (1)
hanker

이번 글에서는 쿠버네티스를 설치하고 kubeadm을 이용하여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를 설정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알아보자. 1. 설치 전 기본 셋팅 1-1. 시스템 업데이트 및 필요 패키지 설치 # ubuntu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upgrade -ysudo apt-ge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centOSsudo yum update -ysudo yum install -y yum-utils device-mapper-persistent-data lvm2 1-2. Swap 비활성화 sudo swapoff -a# /etc/fstab 파일에서 swap 항목 주석 처리하여 부팅 시 자동 실행 방지 ..
SERVER/DOCKER
2025. 4. 12. 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