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spring
- SQL
- IntelliJ
- git
- group by
- docker
- oracle
- JPA
- PostgreSQL
- API
- 리눅스
- mssql
- 명령어
- MongoDB
- DBMS
- network
- rsync
- 오블완
- analytics4
- 자바
- top
- Python
- 티스토리챌린지
- 차이점
- MariaDB
- Javascript
- 트랜잭션
- mysql
- java
- Linux
- Today
- Total
hanker
linux - 네트워크 상태 확인 (netstat - 명령어) 본문
https://hanke-r.tistory.com/114
이전에 window에서 열려있는 포트 확인 후 정지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적었었는데,
이번 글에서는 linux에서 확인하는 명령어를 적어보려 한다.
linux에서 netstat( network statistics )이라는 명령어를 치면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를 보여준다.
전체 시스템 네트워크 전체가 나오기 때문에 특정 네트워크 정보를 찾기엔 부적합하다.
netstat 명령어에 옵션을 붙혀서 사용하면 보다 필터되서 나오는데, 해당 옵션들을 살펴보자.
-a : 모든 소켓을 출력
-n : 호스트 명과 포트 번호등을 숫자로 표현해준다. 조회속도가 빨라진다.
-t : TCP 연결만 보여준다.
-u : UDP 연결만 보여준다.
-l : (Listening) 현재 연결 대기중인 포트를 보여준다.
-p : Process ID를 보여준다.
-i : 인터페이스 상태와 통계를 표시해준다.
-s :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TCP, UDP) 통계정보를 보여준다.
-r :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보여준다. 네트워크 패킷이 어떻게 경로를 따라 전송되는지 보여줌
-c : 네트워크 상태를 지속적으로 갱신하여 보여준다.
-e : 인터페이스의 추가 정보를 보여준다.
옵션들이 많이 있는데, 해당 옵션들을 조합해서 사용한다.
내가 주로 쓰는 명령어는 -tnlp인데 TCP로 연결중 호스트 명과 포트 번호등을 숫자로 보여주면서 현재 연결대기중인 포트들을 PID까지 보여준다.
한번 조합한 예를 보자
처음 올린 사진보다 훨씬 간결하게 나온다.
한번씩 사용해보면서 어떤 정보들이 나오는 지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다.
netstat 명령어는 정말 많이 사용한다.
끝.
'SERVER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디렉터리 및 파일의 소유권 변경 change owner (chown 명령어) (1) | 2024.10.22 |
---|---|
Linux - Command Log 확인 (1) | 2024.10.02 |
LINUX - RockyLinux 파일명 작은 따옴표 감싸지는 현상 (4) | 2024.09.24 |
linux(CentOS7) - 매 (시간/분/초) 스케쥴링 (cron) (0) | 2024.09.14 |
Linux - 현재 서버 OS 버전 확인 (0) | 2024.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