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Kibana
- 자바
- git
- Javascript
- pandas
- network
- spring
- 티스토리챌린지
- mysql
- Python
- zset
- oracle
- mssql
- 네트워크
- Linux
- 리눅스
- MariaDB
- docker
- error
- 명령어
- DBMS
- github
- IntelliJ
- java
- iBatis
- 쉘스크립트
- codeium
- PostgreSQL
- SQL
- 오블완
- Today
- Total
목록network (3)
hanker

전송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인 TCP에 대해서 알아보자. 1.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Internet Protocol Suite)의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연결 지향 프로토콜이다. 특징1-1. 연결 지향성 (Connection-Oriented)3-way handshake를 통해 양 끝단 간의 연결을 먼저 설정한다.데이터 전송이 끝나면 4-way handshake로 연결을 종료연결이 확립된 후에만 데이터 전송 가능1-2. 신뢰성 있는 전송확인 응답(ACK): 수신 측이 데이터를 받았음을 송신 측에 알려준다.시퀀스 번호: 모든 바이트에 고유한 번호를 할당하여 순서를 보장한다.재전송: 일정 시간 내..
네트워크가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어떻게 전송되고, 어떤 규칙을 따라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통신의 기본 원칙을 정리한 두 가지 주요 모델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과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모델이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모델의 개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각각의 계층이 담당하는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자 OSI 모델: 네트워크의 청사진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7개의 계층으로 나눈 참조 모델이다. 이 모델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의해 1984년에 만들어졌으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어떻게 흐르는지를 단계별로 설명한다. OSI ..

Docker Network는 Docker 컨테이너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 네트워크이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도 가능하다. Docker는 기본적으로 컨테이너를 격리된 상태에서 실행하는데,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컨테이너들 간에 필요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Docker Network의 주요 개념 1. Bridge Network- Docker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네트워크 유형이다.- 동일한 호스트에 있는 컨테이너들끼리 격리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며, 기본적으로 docker run 명령어로 컨테이너를 생성하면 bridge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컨테이너 간 통신이 필요한 상황에서 주로 사용된다. 2. Host Network- 컨테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