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ker

2025년 4월 - 가장 많이 사용되는 DBMS Top10 본문

DEVELOPER INFO

2025년 4월 - 가장 많이 사용되는 DBMS Top10

hanker 2025. 4. 15. 02:59
반응형

출처 : https://db-engines.com/en/ranking

 

 

지난 2024년 11월에 Snowflake가 Redis를 곧 잡을 것 같다고 얘기했었는데, Redis를 잡고 6위로 올라왔다.

순위 2024. 11 Score
1 Oracle 1231.05
2 MySQL 987.11
3 MSSQL 785.01
4 PostgreSQL 667.25
5 MongoDB 400.05
6 Snowflake 168.09
7 Redis 154.11
8 Elasticsearch 128.08
9 IBM Db2 126.04
10 SQLite 114.09

 

 


Snowflake와 기존 RDBMS 간의 차이점

 

클라우드 네이티브 vs. 온프레미스
전통 RDBMS는 보통 온프레미스 환경이나 고정된 서버 인프라에서 운용되며, 하드웨어 제약과 수직적 확장이 주된 특징이다.

반면, Snowflake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완전히 설계되어 수평적 확장과 자원 분리가 용이합니다.

 

컴퓨팅과 스토리지 분리
Snowflake는 데이터 스토리지와 컴퓨팅 리소스를 분리하여 관리하므로, 데이터 양이 늘어나더라도 컴퓨팅 성능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전통 RDBMS는 보통 하나의 통합 시스템에서 모든 작업을 수행한다.

 

동시성 및 확장성
멀티 클러스터 아키텍처를 가진 Snowflake는 수많은 동시 사용자나 쿼리를 자동으로 분산 처리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자동으로 확장한다.

전통 RDBMS는 동시 접근 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비용 구조

Snowflake는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PAY-PER-USE 모델을 채택하여, 필요한 리소스만 유연하게 사용하고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반면 전통 RDBMS는 종종 초기 하드웨어 투자와 고정적인 라이선스 비용이 필요하다.

 

사용 구분

전통 RDBMS는 OLTP(트랜잭션 처리)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안정성과 일관성을 중시하는 반면, Snowflake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대규모 데이터 분석과 OLAP(분석 처리)에 특화되어 있다.

 

프로젝트의 요구사항, 데이터 처리량, 사용자 동시 접속 수, 비용 구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솔루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