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ker

생성형 AI시대에 새로운 직업과 점점 사라지게 될 직업 본문

DEVELOPER INFO

생성형 AI시대에 새로운 직업과 점점 사라지게 될 직업

hanker 2025. 2. 3. 00:00
반응형

인공지능(AI)의 발전 속도가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

특히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우리가 일하고 배우는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몇 년 전만 해도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일들이 이제 AI에 의해 자동화되고 있고, 이는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는 동시에 기존 직업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인도 개발자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데, 2~3년만에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그렇다면, 생성형 AI가 어떤 직업을 대체하고, 어떤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내며,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이번 글에서는 생성형 AI가 가져올 노동 시장의 변화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자!

 


1. 생성형 AI란? (인간의 창의성을 넘보다)

 

우리가 생각하는 새로운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악 등)는 사람의 영역이고, AI는 단순 지원을 하는 역할이었다.

AI가 발전함에 따라 이 영역까지 침범하게 된다.

 

생성형 AI는 사람많이 할 수 있는 영역을 침범해 현재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 텍스트 생성 : 기사, 블로그 글, 소설, 코딩 등

- 이미지 및 영상 : 일러스트, 애니메이션, 광고 콘텐츠 등

- 음악 및 음성 합성 : 배경 음악, 가상 연예인 목소리 생성 등

- 코드 작성 : 소프트웨어 개발 및 버그 수정 지원

(물론 오류 없이 완벽하게 작업은 하지 못하지만 몇 번의 프롬프트 요청으로 정답에 근접해 간다.

 


2. 생성형 AI가 대체할 가능성이 높은 직업

 

AI 기술의 발전으로 단순 노동뿐 아니라 지식 노동까지 대체할 가능성이 생겼다.

IT기술의 발전으로 단순 노동 인력들이 사라져 가는 상황은 다들 알고 있겠지만, 이제는 창작의 영역, 사고의 영역인 지식 노동까지도 AI가 침범해 오고 있다.

 

대체 직업군을 알아보자

 

2-1 콘텐츠 제작자 (기자, 블로거, 작가, 번역가)

위협 요소 : ChatGPT와 같은 AI는 뉴스 기사, 블로그 글, 보고서 등을 빠르게 생성 가능하다. 심지어 특정 링크를 지정 후 이와 같이 글을 써달라고 하면 해당 작성자가 작성한 것 같은 글이 나온다.

- 아직도 "AI는 필요 없어!"라고 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이제는 보다 더 이해하고 이용해야 한다.

- 단순하게 생성형 AI가 써주는 글을 올리기보다는 내용을 참고해서 스토리텔링을 만들어 감성적인 접근이 필요한 콘텐츠로 만드는 작업이 필요하다.

 

2-2. 그래픽 디자이너 및 영상 편집자

위협 요소 : AI가 고퀄리티 이미지를 생성해 주는 건 모두 다 알고 있을 거라 생각한다. 영상을 넣어서 자막, 배경 음악, 영상에 효과 추가를 할 수 있다.

- 물론 이 작업도 사람이 필요한 작업이지만, 이전보다 진입 장벽이 낮아진 건 사실이다.

- 진입장벽이 낮아졌다는 건 굳이 전문가가 필요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2-3. 고객 서비스 및 상담원

위협 요소 : 이미 많은 곳에서 대체되고 있는 직군이다. AI 챗봇이나, 음성 비서가 점점 정교해져서 단순 상담 업무가 줄어들고 있다.

 

2-4. 회계사 및 법률 보조원

위협 요소 : AI는 대량의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하여 세무 신고, 법률 문서 검토, 계약서 분석 등을 자동화가 가능해질 것이다.

- 많은 직군이 포함되겠지만, 이미 전문가 분들을 보조하는 직군이나, 신입들의 역할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2-5. 프로그래머

위협 요소 : AI가 훨씬 더 깔끔하게 코드를 작성하고, 프로그램을 만들어준다. 다른 개발자 선/후배 분들이 경험해서 알겠지만, 점점 더 강력해지고 점점 코드 짜는 데에 시간을 투자하지 않아도 된다.

- 개발에 대한 어느 정도 이해도가 있어야 하며, 전체적인 틀에서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알아야 활용해서 뚝딱 만들 수 있으나, 신입들은 어떻게 경력을 쌓아야 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많이 생긴다.

- 단순 작업이나, 오류 수정은 AI가 다해주는데,,

- 그리고 SI, SM 시장에서는 창의력이 그렇게 필요하지도 않다. 

 


3. 생성형 AI가 새롭게 창출할 직업

 

AI가 기존 일자리를 줄이기도 하겠지만, 새로운 산업군이 생겨나고 있고, 생긴 직업도 있다.

 

3-1. AI 개발자 및 데이터 엔지니어

- AI 모델을 개발하고, 최적화하는 개발 전문가 필요

- 데이터 엔지니어링 및 머신러닝 모델 관리 역할이 증가함에 데이터 엔지니어도 필요하다.

 

3-2. AI 프롬프트 엔지니어

- AI에게 정확한 질문을 던져 최적의 결과를 얻는 기술이 중요하다.

- 현재 시중에는 프롬프트 책, 프롬프트 강의들이 이미 출시되어 있다.

 

3-3. AI 윤리 전문가 및 AI 규제 전문가

- AI가 윤리적으로 활용되도록 감시하고 규제하는 역할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3-4. 가상 세계 전문가

- 이제는 가상 인플루언서 및 AI 기반 디지털 마케팅의 전문가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

 


4. 우리는 대체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4-1. AI를 도구로 활용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 AI를 단순히 "경쟁자"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이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4-2. 지속적인 학습과 새로운 기술 습득

- 이제는 IT전문가뿐 아니라 모든 직업군에서 코딩, 데이터 분석, AI 활용법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알아야 한다.

-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는 사람이 AI 시대에 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정리

 

생성형 AI는 기존 직업을 변화시키고 있지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혁신적인 기술이기도 하다.

 

사내에서도 많은 얘기가 오고 가는데, 생성형 AI는 배척이 아니라 수용하고 어떻게 활용할지 논의해야 된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를 계속해서 생각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