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git
- zset
- 네트워크
- MariaDB
- Kibana
- oracle
- java
- pandas
- Javascript
- 티스토리챌린지
- github
- Linux
- network
- 리눅스
- 오블완
- 자바
- 명령어
- IntelliJ
- error
- SQL
- mssql
- Python
- iBatis
- 독서
- PostgreSQL
- docker
- 쉘스크립트
- DBMS
- mysql
- spring
Archives
- Today
- Total
hanker
Logstash - CentOS7 설치 및 실행 (로그 확인) 본문
반응형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RDBMS 데이터를 ElasticSearch에 넘기기 위해 Logstash를 설치해 보자.
Logstash는 형식이나 복잡성과 관계없이 데이터를 동적으로 수집, 전환, 전송한다고 한다.
1. 설치
$ yum install logstash
설치 확인 (systemctl status logstash)
2. 파이프라인 설정
yum install을 통해 설치를 하면, /etc 내부에 logstash 디렉터리가 생성된다.
2-1. ./conf.d 내부에 파이프라인 설정파일 추가 (최초에는 비어있음)
2-2. logstash 실행 (인덱스 생성확인)
./conf.d 디렉토리에 파이프라인 설정파일을 추가했으면 이제 실행시켜 보자.
2개의 파이프라인 설정파일을 추가했고, 인덱스가 2개 생성되면 성공이다.
<엘라스틱서치 인덱스 목록을 조회하여 인덱스가 있는지 확인>
$ curl -X GET "localhost:9200/_cat/indices?v"
- logstash 실행
- 인덱스 생성확인
로그 확인
$ tail -f /var/log/logstash/logstash-plain.lo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