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ker

Linux - df 명령어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 본문

SERVER/Linux

Linux - df 명령어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

hanker 2025. 1. 21. 00:00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df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자!

 


1. 기본 사용법

 

# df [옵션]

df

현재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출력해준다.

믿기지 않게도 이게 끝이다.

 

 


2. 주요 옵션

 

옵션 설명
-h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해준다. (KB, MB, GB 등의 단위로 표시)
-T 각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함께 표시해준다. (ext4, xfs, nfs 등)
-i 디스크 공간 대신 inode의 사용량을 표시해준다.
-a 모든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표시해준다. (마운트되지 않은 파일 시스템, 가상 파일 시스템 포함)
-l 로컬 파일 시스템만 표시해준다. 

 

* inode는 index node의 줄임말로,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체로, inode가 부족하면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수 없다.

 


3. 활용 예제

 

3-1.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

df -h

 

 

3-2. 특정 파일 시스템 유형만 확인

df -t ext4

 

 

3-3. inode 사용량 확인

df -i

 

 

3-4. 특정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

df -h /home

 

 


정리

 

df 명령어는 시스템 관리자가 디스크 상태를 빠르게 점검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다음 글에서는 특정 디렉토리 사용량을 상세히 확인하는 du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자!

 

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