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ariaDB
- Javascript
- 인터페이스
- spring
- 리눅스
- analytics4
- group by
- java
- IntelliJ
- mysql
- SQL
- docker
- git
- 오블완
- MongoDB
- rsync
- oracle
- top
- JPA
- 트랜잭션
- PostgreSQL
- 추상클래스
- 차이점
- 명령어
- 티스토리챌린지
- DBMS
- Linux
- 호이스팅
- mssql
- 자바
- Today
- Total
목록2024/10/22 (2)
hanke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oj09d/btsKc1VJ1AX/Ljankklf6dkujNzEVuIjS1/img.png)
2024년 10월 기준 전세계적으로 사랑받는 DBMS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당 사이트에서 DBMS 랭킹을 볼 수 있다.https://db-engines.com/en/ranking DB-Engines RankingPopularity ranking of database management systems.db-engines.com 통계방식은 구글/Bing 에서 검색 순위, IT 관련 Q&A 사이트 글 등 관련 사이트 글이나, 검색 수로 통계를 냈다고 한다. 주로 RDBMS가 순위권을 차지하고 있는데, Snowflake가 작년에 비해 10위 안으로 치고 들어왔다.MySQL이나 MSSQL 같은 경우는 감소추세이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TOP3안에 있고, 근래에 바뀔 순위는 아닌것 같다. 국내 순위로 따지면 순위 변동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ASRgX/btsKcMwA7Yj/1snBeh3OeaTyKZzT3CYII0/img.png)
리눅스/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변경할 때 사용되는 chown 명령어 change owner단어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명령어 해당 명령어는 파일의 소유자(owner) 또는 그룹(group)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이유는 시스템 관리자가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접근 권한을 관리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며, 권한 설정을 통해 특정 사용자 또는 그룹에게 적절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사용 이유소유자 변경: 파일의 소유자가 다른 사용자로 변경되어야 할 때그룹 변경: 파일에 대한 그룹 소유권을 변경해야 할 때접근 권한 관리: 특정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사용자 또는 그룹별로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 방법chown --help 명령어를 치게되면 사용 방법, 옵션정보에 대해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