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명령어
- SQL
- 리눅스
- 네트워크
- git
- Javascript
- 책
- DBMS
- mysql
- docker
- 책추천
- Python
- pandas
- 오블완
- 개발
- 개발자
- IntelliJ
- oracle
- 독서
- spring
- mssql
- java
- Linux
- 티스토리챌린지
- AI
- 자바
- 후기
- MariaDB
- PostgreSQL
- reac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77)
hanker
Windows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시작하려는데 WPF프로젝트와 UWP프로젝트를 선택하게 한다.WPF(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와 UWP(Universal Windows Platform)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이번 글에서는 두 기술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자 WPF와 UWP WPF (Windows Presentation Foundation)WPF는 2006년에 출시된 .NET Framework 기반의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이다.XAML을 사용한 선언적 UI 개발과 강력한 데이터 바인딩 기능으로 많은 개발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UWP (Universal Windows Platform)UWP는 2015년 Windows 10과 함께 소개된 플랫폼으로,..
웹 개발을 하다 보면 '리버스 프록시'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특히 서버 인프라를 구축하거나 성능 최적화를 고민할 때 빠질 수 없는 개념인데,막상 "리버스 프록시가 뭐냐?"고 물어보면 명확하게 답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번 글에서는 리버스 프록시가 뭐냐? 에 대한 답변을 할 수 있게 끔 알아보자. 프록시부터 이해하기 리버스 프록시를 이해하려면 먼저 일반적인 프록시(Forward Proxy)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Forward Proxy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클라이언트를 대신해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중간 서버이다.쉽게 말해 클라이언트의 대리인 역할을 한다. 리버스 프록시란? 리버스 프록시는 이름 그대로 Forward Proxy와 반대 방향으로 동작한다.서버 측에 위치하여 클라이언트의 ..
React를 사용하다 보면 DOM 요소에 직접 접근하거나,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어도 값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이 있는데,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바로 useRef 훅이다. useRef란 무엇인가? useRef는 React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훅으로, 두 가지 주요 용도가 있다.DOM 요소에 직접 접근하기 위한 참조(reference) 생성리렌더링 간에 값을 유지하되 변경 시 리렌더링을 트리거하지 않는 변수 저장기본 문법은 아래와 같다.const ref = useRef(initialValue); useRef의 특징 리렌더링되지 않음- useRef로 생성된 객체의 current 값이 변경되어도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되지 않는다. - 이는 useState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값이 유지됨- 컴포넌..
Java 프로그래밍에서 종종 보이는 불변 객체란 대체 뭘까? 특히 문자열(String)이나 날짜/시간 관련 클래스(LocalDate, LocalDateTime)를 다룰 때 불변성은 매우 중요한 개념인데, 이번 글에서는 이 불변 객체가 뭘 뜻하는 건지 알아보자. 불변 객체란? 객체가 한 번 생성되면 그 상태(값)가 절대 변하지 않는 객체이다.즉, 객체를 만들고 나면 내부 필드 값을 변경할 수 없다.만약 값이 변경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사실은 새로운 객체가 생성되는 것이다. 불변 객체 예시 StringString str = "Hello";str = str + " World";System.out.println(str); // Hello World- 위 코드에서 Hello 문자열이 수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
지난 글에서 StringBuilder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이번 글에서는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강력한 기능을 발휘하는 StringBuffer에 대해서 알아보자. StringBuffer란? 가변(Mutable) 객체: 문자열을 자유롭게 수정, 추가, 삭제 가능동기화(Synchronized) 지원: 여러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해도 안전하게 동작멀티스레드 환경에 적합 StringBuilder와 거의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만, 차이점은 동기화 여부에 있다. StringBuffer 주요 메서드 // 객체 생성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Hello");// 문자열 추가 (append)sb.append(" World");System.out.println(sb); // Hello ..
Java에서 문자열을 다룰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클래스는 String이다.하지만 String은 불변(immutable) 객체이기 때문에 문자열을 자주 수정하는 작업에서는 성능상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는데,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ava에서는 StringBuilder와 StringBuffer를 제공한다.이번 글에서는 더 가볍고 빠른 StringBuilder를 알아보자. String vs StringBuilder String불변(Immutable) 객체문자열을 수정하면 새로운 객체가 생성됨문자열 변경이 잦을 경우 성능 저하 발생StringBuilder가변(Mutable) 객체내부 버퍼(buffer)에 문자열을 저장하고 수정 가능문자열 연결, 삭제, 삽입 등이 빈번할 때 성능 우수즉, 문자열 수정이 ..
📚 책 정보제목: 글로벌 주식 투자 빅 시프트저자: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출판사: 에프엔미디어출간 연도: 2025년 7월 12일읽은 기간: 2025. 08. 19 ~ 2025. 09. 05 (18일) 📝 책 소개글로벌 주식 투자 빅 시프트는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의 17인 애널리스트 팀이 공동 집필한 책으로, 글로벌 산업 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투자 전략을 심도 있게 분석한 리서치형 투자서이다. 2025년 7월에 출간된 이 책은 주식 투자자들이 직면한 패러다임의 전환, 즉 빅 시프트라는 시대적 흐름을 중심으로 산업과 시장을 조망한다.책은 전 세계 45개국, 약 1300여 개 기업을 포괄하면서 기술주부터 전통 소비재까지 총 16개의 핵심 산업을 다루고 있다. 주요 산업에는 모빌리티, 로봇, 우주, 에너지..
Java 16부터 정식으로 도입된 Record는 클래스를 만들어 데이터를 담을 때마다 반복되는 코드 작성이 지겨움을 없애준다. public class Person { private final String name; private final int age; public Person(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String name() { return name; } public int age() { return age; }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 { ... } @Override public..
웹 개발이나 문서 편집을 하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용어가 있다.바로 WYSIWYG(위지위그)인데, 생소해 보이는 단어인데 우리는 많이 사용하고 있다. WYSIWYG WYSIWYG는 영어 문장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의 줄임말이다.직역하면 보는 대로 얻는다라는 뜻인데, 쉽게 말해 화면에서 보이는 모습이 결과물과 똑같다는 개념이다.예를 들어, 워드 프로세서에서 글자를 굵게(Bold) 설정하면 화면에서도 굵게 보이고, 인쇄해도 굵게 출력된다.즉, 사용자가 미리본 화면과 최종 결과가 동일하다는 것이 WYSIWYG의 핵심이다. WYSIWYG의 대표적인 예시 워드 프로세서(Word, 한글)글꼴, 크기, 색상을 바꾸면 화면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출력물도 동일하다.웹 에디터 (네이버 ..
기업이 성장할수록 부서와 업무는 점점 복잡해진다.인사팀, 회계팀, 생산팀, 영업팀 등 각 부서가 제 역할을 하고 있지만, 만약 이들이 각자 다른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데이터가 중구난방이 될 것이다.데이터가 중복 입력되고, 정보가 전달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결국 경영 판단도 늦어지게 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이다. ERP란 무엇인가? ERP는 기업 내 인사, 회계, 재무, 생산, 구매, 물류, 영업 등 다양한 부서의 데이터를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든 솔루션이다.쉽게 말해, 회사의 모든 자원을 하나의 뇌로 연결해주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ERP가 필요한 이유 업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