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oracle
- github
- java
- Python
- 티스토리챌린지
- analytics4
- 리눅스
- docker
- iBatis
- MariaDB
- pandas
- zset
- mysql
- Javascript
- cursorai
- 명령어
- 오블완
- spring
- 자바
- IntelliJ
- DBMS
- Linux
- codeium
- mssql
- git
- PostgreSQL
- 쉘스크립트
- error
- SQL
- Kibana
Archives
- Today
- Total
hanker
Ping 명령어 사용법, 사용 이유 본문
반응형
ping 명령어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서버 간 연결이 안되면 한번씩 ping 명령어를 날려본다.
대부분의 문제 원인파악 목적으로 사용은 안하지만, 이 명령어 한줄로 체크해야될 항목이 대폭 줄어드는 느낌이다.
정리
Ping 명령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성능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도구로, 주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에코 요청 및 에코 응답 메시지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두 장치 간의 통신 가능 여부, 네트워크 지연 시간, 패킷 손실 여부를 진단
- ICMP 프로토콜 사용: Ping 명령은 ICMP(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를 이용하여 작동. ICMP는 TCP/IP 프로토콜 스택의 일부로, 네트워크 진단 및 오류 보고 기능을 수행
- ICMP 에코 요청/응답:
- Ping 명령은 대상 장치(서버 또는 IP 주소)로 ICMP 요청 메시지 전송
- 대상 장치는 이를 수신하면 ICMP 응답 메시지를 반환
- Round Trip Time (RTT): 요청 메시지가 보내지고 응답이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 즉 왕복 시간(RTT)을 측정하여 네트워크 지연 시간을 계산
사용 이유
- 연결상태 확인
- 네트워크 지연시간 측정
- 패킷 손실 확인
- 네트워크 문제 진단
반응형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 스케쥴러 2번 실행 (Host 속성) (1) | 2024.09.01 |
---|---|
TOMCAT - log 지우기 (catalina.out) (0) | 2024.06.22 |
[Tomcat] 버전별 TOMCAT(WAS) SSL 적용 (jks) (0) | 2024.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