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Linux

[Linux] tar 명령어 (파일 및 디렉터리 압축 명령어)

hanker 2025. 4. 29. 12:01
반응형

리눅스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인 tar명령어와 tar.gz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자.

 


1. tar 명령어

 

위 제목에서는 압축 명령어라고 소개하긴 했지만, z명령어를 사용하지 않으면 사실 무압축 아카이브이다.

파일 및 디렉터리들을 하나의 .tar 파일로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옵션에서 z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면 gzip으로 압축해준다.

 

1-1. 사용 방법

tar [옵션] [아카이브_파일명.tar(.gz)] [대상_파일/디렉터리]

 

 

1-2. 옵션 표 

옵션 설명
-c 새 아카이브 생성
-x 아카이브 풀기
-t 내용 조회
-v 처리 과정 출력
-f 뒤에 오는 이름을 아카이브 파일로 사용 
-z gzip 압축/해제 사용
-j bzip2 압축/해제 사용

 

 

 


2. 사용 예

 

2-1. tar로 묶기

tar -cvf hanker.tar /home/hanker
  • -cvf 옵션으로 살펴보면 처리과정을 출력하면서 옵션 뒤에 오는 이름을 아카이브 파일로 사용하여 tar파일을 생성하라 이다.

 

 

2-2. tar 풀기

tar -xvf hanker.tar
  • -xvf 옵션으로 옵션 뒤에 오는 이름으로 처리과정을 출력하면서 아카이브를 풀어라이다. 즉 hanker.tar파일이 풀린다.

 

2-3. gzip 압축 생성

tar -czvf hanker.tar.gz /home/hanker
  • -czvf 옵션으로 2-1과 같이 z옵션이 추가되면 gzip으로 압축을 시작한다.

 

2-4. gzip 압축 해제

tar -xzvf hanker.tar.gz
  • -czvf 옵션으로 2-2과 같이 z옵션이 추가되면 gzip파일을 압축을 해제한다.

 

2-5. 내부 파일 목록 보기 (압축 해제 x)

tar -tvf hanker.tar.gz

압축 해제가 되진 않는다.

 

 

 

반응형